본문 바로가기

디지털 유산(Digital Legacy)/디지털 애도와 윤리

(4)
사후 SNS 활동을 대행하는 AI 봇, 도입할 것인가 말 것인가?– 고인 명의로 운영되는 AI 기반 SNS 계정의 윤리성 분석 1. 사망 이후에도 계속 활동하는 계정들사람이 세상을 떠나도, 그의 SNS 계정은 여전히 살아 있습니다.인스타그램 피드는 그대로 남고, 트위터에는 마지막 트윗이 고정되며, 페이스북 생일 알림은 여전히 친구들에게 표시됩니다.우리는 이제 고인의 계정을 마주치는 것이 드문 일이 아닌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그리고 이제는 단순히 계정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서,AI가 고인을 대신해 글을 올리고 댓글에 반응하며 SNS 활동을 계속 수행하는 현상이 등장하고 있습니다.이른바 ‘AI 애프터봇’(After-bot) 혹은 **‘디지털 유령 봇’**이라 불리는 이 기능은고인의 생전 SNS 게시물, 말투, 좋아했던 콘텐츠, 해시태그 패턴 등을 분석해마치 고인이 여전히 살아있는 것처럼 SNS 활동을 이어갑니다.개인적으로 저는 이 기..
디지털 추모 공간의 상업화, 어디까지 허용되나?– 추모 페이지에 광고나 유료 서비스가 도입될 때의 도덕적 논쟁과 실제 사례 1. 추모가 비즈니스가 되는 시대사람이 세상을 떠나면, 남겨진 사람들은 고인을 기억하고 추모할 수 있는 공간을 찾습니다.예전에는 묘지, 납골당, 묘비가 그 역할을 했지만,이제는 디지털 추모 공간이 새로운 장례 문화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웹사이트, 모바일 앱, 메타버스 플랫폼 등을 통해 고인의 사진, 영상, 생전 기록을 담은 추모 페이지를 만들 수 있으며,유족과 지인들은 그곳에 추모 메시지를 남기며 고인을 기립니다.이러한 플랫폼은 기술 발전과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급속히 성장해 왔으며,한국에서도 네이버 추모관, 장례식장 앱, 카카오 기반 디지털 영정 서비스 등이 확산되고 있습니다.하지만, 이러한 추모 공간에 광고가 삽입되고, 프리미엄 기능이 유료화되는 구조를 보며나는 이렇게 묻게 됩니다.죽음을 기리는 공간..
AI 애도 메시지: 위로인가, 조작인가?– 고인을 대신해 자동 생성되는 애도 메시지의 감정 진정성과 윤리적 경계 1. AI가 대신 전하는 애도, 진짜 위로가 될 수 있을까?사람이 세상을 떠나면, 그 마지막 말은 늘 부족하게 느껴진다.그들이 마지막 순간에 무슨 말을 남겼을지, 또는 유족들에게 어떤 말이 위로가 되었을지를 상상해본 적이 있는가?최근 몇 년 사이 AI 기술은 바로 이 영역을 파고들기 시작했다.고인의 글쓰기 스타일, 어투, 말투 등을 학습한 인공지능이 고인을 대신해 남겨진 가족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게 된 것이다.예를 들어, 생전의 SNS 게시물, 문자 메시지, 이메일 등을 기반으로"난 항상 네가 자랑스러웠어." 또는 "힘들 땐 나를 떠올려." 같은 고인의 말투를 닮은 문장을 AI가 생성하는 것이다.겉보기에는 꽤 감동적일 수 있다.떠난 사람과 다시 ‘대화’할 수 있다는 점,그가 나에게 했을 법한 말을..
AI가 고인을 복원하는 시대– 윤리적 한계와 사회적 논란 1. 죽은 이가 다시 말을 건네는 시대이제는 사람이 세상을 떠났다고 해서, 그의 목소리까지 사라지지는 않습니다.AI 기술은 고인의 목소리, 얼굴, 말투, 심지어 성격까지 학습해 디지털로 다시 태어나게 만들 수 있습니다.이러한 현상을 저는 ‘디지털 부활’ 혹은 ‘AI 기반 고인 복원’이라 부르고 싶습니다.최근에는 고인이 생전에 남긴 영상, 사진, 음성 녹음, SNS 게시물 등을 바탕으로 고인의 외모와 말투를 그대로 재현해 가족과 대화를 이어가는 AI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습니다.일부 AI는 미리 설정된 문장을 반복하는 수준을 넘어, 유족의 질문에 실시간으로 응답하며 실제 대화처럼 느껴지는 상호작용을 제공합니다.예를 들어, 자녀가 “엄마, 오늘 너무 힘들었어…”라고 말하면 AI가 “그랬구나, 네가 정말 열심히..